작성일자 | 2022.11.24 |
---|---|
첨부파일 |
과학기술정보통신부는 11.18(금) 국정 과제인 ‘글로벌 미디어 강국 실현’을 달성하기 위해 관계부처와 「디지털 미디어·콘텐츠 산업혁신 및 글로벌 전략」을 발표했다.
- 현재 세계 시장은 ①인터넷동영상서비스의 전 세계 진출로 경쟁이 격화되고 있으며, ②확장가상세계가 차세대 방송 플랫폼으로 부상하고, ③창작자 방송이 유망 일자리 분야로 성장하는 등 3대 디지털 방송 플랫폼을 중심으로 산업 지형이 빠르게 변화하는 중임,
- 이를 주력사업으로 도약시키기 위해 ▲3대 디지털 방송 플랫폼에 집중하여 맞춤형으로 지원하고, ▲산업 혁신에 필요한 공통기반 조성을 본격 추진함.
- (인터넷동영상서비스 플랫폼·콘텐츠 세계적 성장 지원) ①(해외 진출) ▲‘(가칭) 국제 인터넷동영상서비스 상(Global OTT Awards)’ 신설, ▲정부고위급 회담 개최, ▲인터넷동영상서비스 기업 현지화 지원, ②(경쟁력 강화) ▲제작사+인터넷동영상서비스 연합체에 대해 제작 및 제콘텐츠시장 참가 지원, ▲세액공제 확대
- (확장가상세계를 차세대 방송플랫폼으로 집중 육성) ①(실증·상용화) ▲‘개방형 서비스 모형’ 구축, ▲‘2030 부산월드엑스포’ 등 대형국제행사와 연계, ②(성장역량 확충) ▲핵심 및 애로기술 개발, ▲인재 양성
- (창작자 방송 지원으로 일자리 창출) ①신직업군 발굴, ‘자율 공유형 경력관리 시스템’을 구축, ②(근로환경 개선 등) ▲표준계약서 개발과 적용 지원, ▲노무·법률 분야 상담창구 운영, ③(산업 규모확대) 성장 단계별 지원
- (혁신기반 마련) 끊임없이 자본이 유입되도록, ①정부 기금, ②산업계 투자, ③신기술 접목 투자혁신 등 3대 투자 물줄기를 확대
<붙임> 디지털 미디어·콘텐츠 산업혁신 및 글로벌 전략
원문링크 : 디지털방송·콘텐츠 산업을 대한민국의 새로운 성장·수출엔진으로 만든다! | 경제정책자료 | KDI 경제정보센터