QUICK MENU

TOP

경제 산업 동향

20221109_「역동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 방안」발표(중소벤처기업부)

작성일자 2022.11.09
첨부파일

중소벤처기업부는 11.4(금) 비상경제장관회의에서 민간이 끌고 정부가 밀어주는 「역동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방안」을 발표했다.

- 최근 고환율·고물가·고금리 지속 등 대내외 경제 여건 악화로 벤처투자 심리가 위축되고 있으며, 정부 재정지원으로 벤처 생태계의 외연은 커졌지만 민간자본이 벤처투자시장에 자생적으로 유입되는 기반이 부족했음.

- (경기 불확실성에 대응한 벤처투자 활력 지원) 벤처투자 촉진 유인책(인센티브), 중간회수시장 활성화 등 지원

- (민간자본 유입이 확대되는 벤처투자 생태계 고도화 지원) ①민간 벤처모기금(펀드) 조성, ②세계(글로벌) 자본 유치를 확대, ③선진 벤처금융기법을 도입

- 경기둔화 전망에서도 벤처·초기창업기업(스타트업)에 충분한 성장자금을 공급해 우리 경제의 미래 성장동력을 육성하고, ‘정부 모태기금(펀드)’와 ‘민간 벤처모기금(펀드)’라는 2개의 기관(엔진)으로 벤처투자 생태계를 역동적으로 성장시킴,

- 그간 미흡했던 벤처투자시장과 사모투자시장 간 연계를 강화하기 위해 정부 정책이 가교가 되어 벤처투자의 중간회수시장 활성화를 도모하며, 세계(글로벌) 자본 유치를 확대해 국내 유망 초기창업기업(스타트업)의 해외시장 진출을 효과적으로 뒷받침함.

- 한편, 중소벤처기업부는 정책 수요자들을 대상으로 「역동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방안」에 대한 정책 설명회를 개최함.

- 이영 장관은 벤처투자업계 및 초기창업기업(스타트업)계 전문가들의 의견을 청취하고, 참석자들과 질의·응답을 통해 정책에 대한 충분한 소통의 시간을 가질 예정


원문링크 : 「역동적 벤처투자 생태계 조성 방안」발표 | 경제정책자료 | KDI 경제정보센터